부동산

부동산 #2. 임대차3법 中 임대차(전월세) 신고제 총정리

경제적 성장을 목표로 하는 박깜콩 2021. 11. 15. 17:15
반응형

안녕하세요, 재테크 족보의 폴머니(FM)입니다.

지난 6월 1일부터 본격적으로 시행중인 임대차 3법의 마지막 퍼즐인 '전월세신고제'에 대해

최대한 상세하게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
 

전월세신고제를 알기에 앞서 '임대차 3법'에 대해 간략히 설명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!

■ 임대차 3법이란?

지난 20년 7월 30일에 정부와 여당이 전월세 시장의 안정을 위해 도입한 법안을 말해요.

다들 잘 알고 계시는 *계약갱신청구권제*전월세상한제는 임대차 3법이 국회를 통과한 후 다음날인 21년 7월 31일부터 시행되고 있고, 임대차 3법의 마지막 퍼즐인 '전월세신고제'는  지난 6월 1일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있습니다.

* 계약갱신청구권제 : 세입자는 첫 전월세계약 이후 추가 2년의 계약 연장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

→ 임차인은 임대인에게 계약갱신청구권 사용 의사를 계약만기 2개월~6개월 사이에 알려야합니다.

* 전월세상한제 : 계약갱신을 할 때 임대료는 직전 계약액의 5%를 초과 인상할 수 없다.

그럼 본론으로 돌아와 임대차 신고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!

■ 임대차(전월세) 신고제란?

- 임대차 계약 당사자가 임대기간, 임대료 등의 계약내용을 신고하도록 하여 임대차 시장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임차인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도입되는 제도를 말합니다.

■ 시행 일정

- 21년 4월 19일부터 시범지역에 해당하는 곳부터 시행(*시범지역 : 아래 확인)

- 21년 6월 1일부터 본격적으로 군(郡)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의 주택 임대차 계약시 모두 신고 필수!

■ 신고 의무를 가지는 임대차 계약 금액이 얼마인가요?

- 임대차 보증금 6천만원 초과 또는 월세 30만원 초과

(* 예시 아래 카드 참조)

■ 신고 대상 주택

- 주거용이면 모두 신고하셔야 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!

- 오피스텔 사무용은 주거용이 아니므로 신고 의무 X

(* 여기서 골자로 봐야하는 것이 고시원이나 다가구 주택 임대사업을 하고 계시는 분들의 경우

단기계약(3개월 혹은 6개월 등)도 상기한 신고 금액에 해당하는 계약을 했을 때 신고하셔야 합니다.)

■ 신고 내용은?

- 신고 내용은 표준임대차계약서에 필요한 정보들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.

부동산에서 계약하실 때 필요한 정보들을 가져다가 임대차 신고에 활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.

( *상세 내용 아래 카드 참고)

단! 여기서 갱신계약일 경우에만 신경 쓰셔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.

* 갱신계약일 경우 종전임대료가 얼마였는지, 계약갱신요구권 행사 여부를 추가 후 신고하셔야 합니다!

■ 누가 어떻게 신고하는 건가요?

- 원칙으로는 계약 당사자인 임대인과 임차인 모두 계약 신고서에 공동으로 서명 또는 날인한 계약서를 첨부하여

공동으로 신고하는 것이 원칙입니다!

- 하지만, 신고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정부에서 임대인 또는 임차인 중 한 명이 당사자가 모두 서명 또는 날인한

계약서를 제출하는 경우 공동으로 신고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규정이 있어 공동으로 날인한 계약서만 있다면,

임대인 혹은 임차인 둘 중 한명만 신고해도 됩니다.

- 계약하시는 당사자들이 임대차 신고제에 대해 잘 모르거나, 어르신 분들께서 임대차 신고 관련 내용에 대해

어려워하실 경우 부동산 중개사 혹은 자녀분들이 위임하여 신고할 수 있습니다.

이 경우 위임장을 반드시 준비하셔야 합니다.

* 임대인 또는 임차인이 임대차계약서를 제출하여 신고를 접수할 경우 상대방에게 문자 메세지로 임대차 신고가

접수 완료되었음을 알려주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고 하네요 :)

■ 그럼 신고는 어디에서 가능한가요?

- 오프라인 신고를 할 경우,

임대한 주택의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통합민원창구 신고 신청이 가능하다고 합니다.

- 온라인 신고를 할 경우에는,

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(https://rtms.molit.go.kr)에서 신고 가능합니다.

이 때, 계약서 원본을 스캔하여 pdf 혹은 jpg 파일로 변환하거나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사진파일(png)를

준비해주셔야 합니다.

■ 임차인이 전입신고를 한다면 임대인은 전월세 신고제를 크게 신경 쓸 필요가 없습니다!

- 전월세 계약을 할 경우 대부분의 임차인은 본인들의 보증금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전입신고를 합니다.

임대인과 임차인이 공동으로 서명 또는 날인한 임대차 계약서를 가지고 임차인이 전입신고를 할 경우, 임대차 계약 신고를 한 것으로 규정하며, 임대차 신고 계약서를 제출할 경우 [주택임대차보호법]에 따른 확정일자가 자동으로 부여된다고 합니다.

* 본인이 임차인일 경우! 반드시 전입신고 할 때 임대차 계약서를 지참해서 임대차 신고도 하고 확정일자도

부여 받으시길 바랍니다!

소중한 보증금 본인이 꼭꼭! 잘 챙기세요

 

 

■ 만약 거짓 혹은 허위신고할 경우 과태료는 얼마죠?

- 거짓 신고의 경우 과태료 100만원을 부과하며, 미신고의 경우 계약금액 규모와 신고 해태기간을 고려하여

최소 4만원부터 차등 부과할 예정이라고 하네요.

- 단, 22년 5월 31일까지 약 1년동안은 임대차 신고법 계도기간을 운영하여 과태료를 부과하지 않을 계획이래요!

■ 임대차 신고제의 기대효과는?

-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. 크게 궁금하지 않으실 것 같아서요~ ㅎㅎ

국토부 자료에서 가져온 기대효과들입니다.

■ 출처!

- 위에 설명한 모든 내용은

국토교통부(www.molit.go.kr)홈페이지 → 뉴스.소식 → 보도자료 → 2021년 4월 15일 [부동산거래신고법] 하위

법령 개정안 입법예고(주택임대지원팀)에

올라와 있는 내용들을 바탕으로 제 개인적인 판단과 분석으로 정리하였습니다.

 

지금까지 제 포스팅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!

반응형